본문 바로가기
디자인

1.타이포그래피(Typography)

by 빛나는 기록 2024. 3. 2.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를 읽기 쉽고, 읽기 쉽게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한 유형을 배치하는 기술 입니다.                                                      
유형 배열에는 포인트 크기,행 간격, 선 길이, 문자 간격, 문자와 문장 사이의 간격 등등 이 있습니다. 타이포그래라는 용어는 프로세스에 의해 작성된 숫자,문자,기호의 스타일 , 외관 및 배치에도 적용이 됩니다.타입 디자인은 밀접하게 관련된 공예품이며,때로는 타이포그래피의 일부로 간주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타이포그래퍼는 타입 페이스를 디자인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타입 디자이너 중에는 자기 자신을 타이포그래퍼라고 생각하지 않는 디자이너도 있습니다 . 타이포그래피는 정보 전달과는 무관하게 장식적인 장치로도 사용가능 합니다.                                                                                                                                                                                                 

 

타이포그래피는 아트 디렉터나 그래픽 디자이너, 만화가의 일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출판 . 전시 . 배포를 위하여 숫자나 문자 또는 기호를 정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해당됩니다.디지털 시대까지만 해도 타이포그래피는 전문적인 직업이었으나 개인용 컴퓨터는 예전에는 무관했던 새로운 세대의 디자이너나 일반 사용자에게 타이포그래피를 개방 하였습니다. 타이포그래피를 작성하는 능력이 어디에나 존재하게 되었기 때문에, 몇 세대에 걸친 숙련 노동자나 전문가 사이에서 개발된 원칙들의 적용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에 대하여

 

현대의 인쇄물이나 방송물, 출판물 혹은 복제물에 일반적으로 적용이 되지만 인간이 가장 초기의 자연주의적인 그림과 함께 쓰여진 모든 문자,단어,숫자 및 기호는 타이포그래피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타이포그래피라는 뜻은 그리스어의 τύπος typos '형태' 또는 '인상'과 γράΦειν graphein '쓰다' 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또한 고대에 도장이나 화페를 만드는데 사용된 최초의 펀치나 다이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기원전 2천년경 메소포타미아 도시인 우루크 와 라르사 에서 발견된 별돌 우표의 간격이 고르지 않다는 것은 문자를 재사용하여 활자체 문자를 작성한 유형의 증거일 수 있습니다. 바빌로니아 의 원형 인장은 젖은 점토에 인장을 굴림으로써 표면에 자국을 남기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타이포그래피는 기원전 1850년 부터 1600년 사이에 제작된 크레타섬으로부터온 수수께끼 같은 미노아의 인쇄물인 파이스토스.디스크에도 실장되었습니다.

 

가동식 타이포그래피

 

가동식 타이포그래피는 11세기 990-1051 손나라 때 중국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그의 가동식 시스템은 도자기 재료로 제조되어 중국에서는 청나라때까지 인쇄가 행해지고 있었습니다. 왕젠은 목제가동식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목형은 기계적인 취급의 엄격함 속에서 내구성이 높았지만, 반복적으로 인쇄하면 글자면이 아래로 내려가고 새로운 조각을 새기면 대체가 가능 했습니다.

 

금속가동식의 발명

금속가동식은 고려시대인 약 1230년경에 한국에서 처음 발명되었습니다. 화취는 1490년에 청동활자를 중국에 도입하였습니다. 그러나,양가동식 시스템의 보급에는 한계가 있어, 기술은 동아시아나 중앙아시아를 넘어서는 보급되지 않았습니다.

급속히 발전한 기술은 20세기 후반에 타이포그래피에 혁명을 가져왔습니다.1960년대에는 ,IBM에 의해 도입된 것과 같은 스탠드얼론 머신을 갖춘 워크샵이나 오피스에서 카메라에 대응한 타입 세트가 생산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는 디자이너가 유형을 즉시 전송할 수 있는 건식 전송 기술을 도입해왔습니다. 유명한 로렘입섬은 레트라 세트에서의 사용으로 인해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1980년대 중반 , 개인용 컴퓨터는 폰트그래퍼와 같은 상용 그래픽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타입 페이스를 디지털로 작성할 수있게 하였습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하여 디자이너는 기존 타이포그래피의 실용적인 타입 페이스뿐만 아니라 보다 실험적인 타입페이스를 만들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기술의 구체적인 기능에 의하여 서체 디자인을 보다 빨리 만들 수 있습니다. 서체의 개발 비용은 대폭 삭감되어 대중이 널리 이용할수 있게 되었고 이변화는 <유형의 민주화>라고 불리우며 , 새로운 디자이너에게 그 분야에 참가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타이포그래피의 진화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진화는 식자 시스템의 개발과 함께 쭉 발전해 왔습니다. 타이포그래피는 그 기원으로부터 크게 진화되어 왔지만,전통에 가까운 경향을 가진 보수적인 예술입니다. 이는 가독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보통은 가장 읽기가 쉬운 서체가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타이포그래피의 진화는 손글씨나 관련된 예술 형식, 형식적인 스타일과 밀접하게 얽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이포그래피의 진화는 이 관계를 참고해서 논의될 필요가 있습니다.

 

유럽 인쇄의 초기 단계에서는, 서체(검은 고딕문자)는 일반적인 손으로 쓴 서체를 모방해 디자인 되어 왔습니다. 처음에 이 글씨체는 각각의 글자가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할당된 공간에 잘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 졌기때문에 읽기 어려웠습니다.헬레니즘과 로마의 책 제작 시대에 기원을 둔 원고 집필 예술은 중세의 조명된 원고로 정점을 찍었습니다.금속활자의 서체는 스타일을 현저하게 변화시켜 새로운 구성기준을 가져왔고 선명하고 타협이 없는 것으로 만들었습니다.프랑스 르네상스 시기에 클로드 갈라몽드는 로마자 서체의 채택을 일부 담당했고 ,최종적으로는 보다 일반적인 고딕체로 대체 되었습니다.8개의 로마자 서체도 손 글씨 스타일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반응형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메이션  (0) 2024.03.03
색의 이해  (0) 2024.03.03
타이포그래피 원리  (0) 2024.03.02
2.타이포그래피(Typography)  (0) 2024.03.02
CSS에 대하여  (0) 2024.03.02